한옥은 북방문화에서 비롯된 온돌방과 남방문화인 대청이 한 건물 안에 들어서 있는 살림집이다.
북방과 남방문화의 조화라는 면에서 우수성이 입증됐는데 한 옥의 또 다른 특징인 후원(後園)도 한국 조경에서만 나타난다. 우리 조상들은 사람은 산천의 정기를 받아 태어나니 뒷산에서 집으로 뻗어온 지맥과 지기가 온전히 보존돼야 훌륭한 인물이 태어난다고 믿었다. 그 결과 배산임수 지형에 터를 잡고 집을 산기슭에 바짝 붙여 지었다.
후원은 산 비탈면을 깎아 화단을 만들고 계단에는 철따라 꽃을 피우는 화초와 꽃나무를 심고 괴석을 놓기도 했다. 모두 집으로 흘러드는 산의 정기가 훼손되지 않 도록 초목으로 보호한 것이다. 배산임수는 뒤쪽에 산을 두고 앞에 내와 들이 있는 전저후고 지형을 말한다. 집터의 뒤가 높고 앞이 낮으면 일조량이 풍부해 겨울은 따뜻하고 여름에는 남 동풍이 불어와 시원하다.
뒷산에 무성한 나무는 물과 흙을 보호ㆍ유지해 쾌적한 미기후를 조성하고 배수가 용이한 데다 집 안에는 오물이 고여 썩지 않으니 예부터 '진토(晉土)'라 하여 귀하게 여겼다. 또 지기는 흙을 따라 흐르고 흙에 머물기 때문에 흙을 파내고 땅을 평평하게 고른 후 집을 짓는 것을 꺼렸다. 어떤 경우든 지표면 흙을 훼손하지 않은 채 돌이나 나무로 꾹꾹 흙을 다진 후 그 위에 초석을 놓고 기둥을 세웠다.
하지만 요즘에 짓는 집과 건물은 지맥과 지기의 보전이라는 전통 가치관이 상당히 무시되고 있다. 가급적 도로에서 접근하기 편리한 터를 선호하고 지하주차장을 위해 땅 속을 깊이 판 뒤 용지를 평탄히 고르고 골조를 세운다.
도로 양 옆에 건물을 지으면 대개는 양쪽 건물 모두 도로를 바라보도록 건물의 향을 놓는데 이 중 하나는 지맥에 역행해 건물 향이 놓아져 흉하다.
즉 아무리 평탄한 땅도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 지맥도 산에서 내와 강쪽으로 흘러간다. 이 지맥에 순행해 지은 건물은 배산임수 터라 길하지만 그 반대 쪽 건물은 역으로 번영할 운을 가지지 못하고 분란이 잦다. 마치 말을 타고 달릴 때 말 갈퀴를 붙잡고 달리는 경우(순행)와 말 꼬리를 붙잡고 달리는 경우(역행)에 비유된다.
현대의 집도 마찬가지다. 땅을 깊게 파 암반 위에 집을 지은 아파트는 '기가 센 집'이다. 지기가 쇠약한 터의 다른 표현이다.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대지는 말 그대로 금값이다. 따라서 건물을 지을 때면 당연히 지표면 흙을 걷어내고 땅을 깊이 판 다음 지하주차장, 지하상가, 공조실 등을 둔다. 이럴 때 지기를 보전하기 위해 꼭 해야 할 일이 있다.
풍수는 흙을 기 덩어리로 보니 땅 속에 석 자 정도로 생토를 고르게 깐 다음 그 위에 콘크리트 타설을 하고 골조를 세워야 한다. 이것은 상처 입은 땅을 치료해 지덕을 발동시키는 풍수의 비책이다. 성토를 하 려면 비용이 들지만 훗날 지기가 발동해 받을 복을 생각하면 그야말로 조족지혈(鳥足之血)에 불과하다.
(출처:고제희칼럼)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지혜로운 상식정보 ◈─…… (0) | 2013.10.21 |
---|---|
[스크랩] 중년의 가슴에 10월이 오면 (0) | 2013.10.17 |
[스크랩] 자연과 함께 황토집에 살고 싶다!!!!!!! (0) | 2013.10.16 |
[스크랩] 한반도, 이미 中 [제1열도선]에 포함돼 있다! (0) | 2013.10.13 |
[스크랩] 중국의 융성과 한국의 위기 (0) | 2013.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