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이하 위키피디아
웹 페이지를 위한 마크업(markup) 언어다. 마크업 언어는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표시하는 언어의 한 종류다. 마크업 언어는 프로그래밍 언어와 다르다.
HTML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를 태그(Tag)라고 부른다. 기본적으로 태그는 여는 태그와 막는 태그로 구성돼있다.
2. HTML5
HTML 최신 규격이다. 2014년 공식 표준으로 지정됐다.
HTML5부터 별도 프로그램 없이 비디오, 오디오 재생을 할 수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액티브X, 플래시를 이용해 비디오 콘텐츠를 봤었다.
3. CSS (Cascading Style Sheet·캐스케이딩 스타일 시트)
과거 사용한 HTML은 웹 문서를 설계하고 수시로 변경하는 데 제약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웹문서에 전반적인 스타일을 지정한 스타일 시트가 CSS다.
CSS 덕분에 문서 전체 일관성을 유지하기 더 쉬워졌고, 스타일을 일일이 지정할 필요도 없어졌다. CSS 덕분에 웹 개발자들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빠르게 웹 페이지를 설계할 수 있게 됐다.
4.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자바 스크립트는 웹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다. HTML 문서는 정적인 경우가 많다.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면 동적인 화면을 웹페이지에서 구현할 수 있다.
최근 웹페이지에서 많은 기능이 추가되면서 자바 스크립트는 중요한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언어가 됐다.
5. 아이프레임 (iframe)
아이 프레임은 내부 프레임(Inline Frame)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HTML 문서에서 다른 HTML문서를 삽입할 때 사용한다. 러시아 인형 마트료시카(Матрёшка)를 생각하면 쉽다.
유튜브 동영상을 다른 웹페이지에 삽입(embed)할 때 사용하는 소스 코드가 아이프레임이다.
6. 캐시(Cache)
데이터를 임시로 두는 장소를 말한다. 같은 웹페이지를 다시 방문할 때, 새로운 데이터를 가져오면 시간 낭비가 생긴다. 시간 낭비를 막기 위해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대신, 기기 내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7.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운영체제(OS)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하는 언어 또는 메시지 형식을 말한다. API는 OS와 응용프로그램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주로 파일 제어, 창 제어, 문자 제어 나 화상 처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기계와 사람을 연결시킨다면, API는 기계와 기계를 만나게 하는 인터페이스에 가깝다.
8. 공개 API (Open API)
공개 API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API를 뜻한다. 오픈 API는 대부분 무료, 저작권과 상관없는 공개 데이터, 개방형 표준 3가지 원칙에 기반을 둔다. 구글 맵이나 애드센스에 사용되는 구글(Google) 코드, 페이스북 등이 대표적인 예다.
9. 매시업 (Mashup)
공개 API를 이용해 만든 새로운 서비스,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를 매시업이라고 부른다.
Web 2.0 이후 공개 API를 도입하는 서비스가 늘고 있다. 구글, 야후,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은 웹 서비스를 API로 공개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공개 API에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적용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오게서' 홈페이지
예를 들어, ‘지오게서’는 무작위로 스트리트 뷰(Street View) 사진을 보여준다. 사용자는 사진을 보고 장소를 맞춰야 한다. 이 웹사이트는 구글 지도 API를 이용해 만들었다. (☞ 웹사이트 바로가기)
10. 저작물 관리 시스템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pixabay
사진, 음성 등 저작물 관리에 이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뜻한다. 넓은 의미로 CMS는 기업에서 부가가치와 관련한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웹에서 흔히 사용되는 CMS는 웹사이트 컨텐츠를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익스프레스 엔진(XE), 그누보드, 텍스트큐브가 유명하고, 최근에는 워드프레스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CMS는 웹에서 컨텐츠를 쉽게 발행하고, 관리하는 것을 도와준다.
11. 페이지 뷰 (PV·Page View)
인터넷 사용자가 특정 페이지를 접속해 표시되는 것 혹은 사용자가 접속하는 수의 단위(PV)를 의미한다.
다른 페이지를 왔다가 돌아오는 것, 새로 고침을 누를 때마다 PV 카운트가 1회씩 증가한다. 새로고침(F5)을 열심히 눌러서 PV 카운트를 늘릴 수 있다.
PV는 특정 웹 사이트 인기를 가늠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12. 히트 (Hit)
인터넷 사용자가 웹 서버의 파일 1개에 접속하는 것을 뜻한다. 여기서 파일이란 MP3, WAV 등 사운드 파일, JPEG, PNG, GIF 등 이미지 파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웹페이지를 읽을 때, 다수의 히트가 발생한다. 한 페이지에 그림 파일 5개, 음악 파일 1개가 있으면 히트 6번을 기록하게 된다.
페이지에 있는 파일 수에 따라 히트가 기록되기 때문에, 히트는 웹사이트의 인기를 알기 위한 척도가 되긴 어렵다. PV가 웹데이터 분석에 흔히 사용되는 이유다.
13. 방문수 (Visit, Session)
방문수는 인터넷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해, 이용을 끝내기까지 일련의 행위를 묶은 단위다. 방문은 세션(Session)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인터넷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한다. 이후 30분 내 웹 사이트에서 활동(다른 페이지를 클릭 하는 등)이 있는 경우 세션 1회가 발생한다. 30분 내 인터넷 사용자 활동이 없으면, 해당 웹사이트를 떠난 것으로 간주된다. 30분은 웹 로그 분석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시간이다.
예를 들어, 아침에 위키트리를 접속해서 기사를 보고, 저녁에 다시 위키트리를 방문한다면 세션은 2회로 기록된다. 아침에 위키트리 창을 켜놓고 저녁까지 아무 활동이 없다면, 세션은 1회로 기록된다.
자동프로그램 봇(Bot) 방문은 사용자가 아니므로 방문수에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14. 순방문자 (Unique Visitor)
웹 로그 분석에서 방문을 일으키는 인터넷 사용자를 ‘순 방문자’라고 부른다. 순 방문자는 진짜 사람을 뜻하는 것이기 때문에 봇은 제외된다.
순방문자는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한 실제 사람 수다. 일정 시간 동안 클릭 등 다양한 활동은 모두 순방문자 1명으로 기록된다. 순 방문자는 쿠키나 IP 주소로 구분한다.
15. 트래픽(Traffic)
서버 데이터 전송량을 말하는 단어다. 정보량이 많을수록 트래픽 용량도 많이 필요하다. 서버가 버틸 수 있는 용량 이상으로 트래픽이 생기면, 서버는 다운된다. 이를 이용해 악의적으로 상대방 서버를 마비시키는 것을 서비스 거부 공격(DoS)이라고 부른다.
출처:위키트리
출처 : 이종격투기
글쓴이 : ★특별한회원★ 원글보기
메모 :
'comp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글자 세로로 크기 변형♠───★포토샵 강의 ♠ (0) | 2017.06.04 |
---|---|
[스크랩] 스마트폰 용량 늘리고 속도 UP 시키는 10가지 방법 (0) | 2016.10.21 |
[스크랩] 휴대폰 긴급충전 비법 (0) | 2016.02.20 |
[스크랩] 컴퓨터에 무지한 내가 먼저 읽어봐야 할 자료 (0) | 2016.02.20 |
[스크랩] 컴퓨터에서 삭제해야 할 프로그램 AtoZ (9) (0) | 2016.02.04 |